BlogHide Resteemswisdomandjustice (82)in sct • 3 years ago션즈화의 조선전쟁 13, 션즈화의 입론에 대한 검토in sct • 3 years ago션즈화의 조선전쟁 12. 스탈린의 한반도에서의 정책 수정동기에 대한 설명in sct • 3 years ago션즈화의 조선전쟁 11 한국전쟁의 기원에 관한 입론in sct • 3 years ago션즈화의 조선전쟁 10, 스탈린의 대한반도 정책 수정에 대한 정리션즈화는 제3장 동북아 국제정세에 대한 스탈린의 사고 에서wisdomandjustice (82)in sct • 3 years ago션즈화의 조선전쟁 9, 중소동맹조약과 한국전쟁의 관계에 관해, 션즈화와 다른 입장in sct • 3 years ago션즈화의 조선전쟁 8, 스핑전투와 마오쩌둥의 군사 전략변화in sct • 3 years ago션즈화의 조선전쟁 7, 소련이 중국동북에서 철수한 이유in sct • 3 years ago션즈화의 조선전쟁 6, 소련이 동북지역에서 중공을 지지하게된 이유, 미국의 동북지역 개입과 소련의 반응in sct • 3 years ago션즈화의 조선전쟁 5, 스탈린의 중국 동북지역에 대한 입장션즈화는 스탈린이 중국 동북진출이 마오쩌둥에 의해 좌절되지 그 대체지를 한반도에서 찾으려고 했다고 보고 있다. 스탈린은 제정러시아가 중국의 동북지역에서 확보했던 태평양 진출을 위한 출구와 부동항을 확보하려…wisdomandjustice (82)in sct • 3 years ago션즈화의 조선전쟁, 4, 한국전쟁의 기원 문제 스탈린 음모 가능성in sct • 3 years ago션즈화의 조선전쟁 3,션즈화는 소련이 조선전체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하는 것이 아니었다고 주장하고 있wisdomandjustice (82)in sct • 3 years ago션즈화의 조선전쟁 2, 전쟁의 성격규명과 기원에 대해션즈화는 조선전쟁의 기원문제를 언급하면서 국제전으로서의 조선전쟁은 ‘그 발달과정과 최종결과를 놓고 보면, 사실상 중국(소련의 원조와 지원을 받는)과 미국간의 전쟁’이라고 규정한다. 전쟁의 진행과정을 놓고 보면…wisdomandjustice (82)in sct • 3 years ago마오쩌둥과 스탈린의 조선전쟁(션즈화) 1다음부터는 중국의 션즈화가 쓴 을 읽어 나가려고 한다. 양이 많고 얼핏 살펴본 것으로는 사료의 해석과 논리적 프레임의 문제를 다루어야 할 것 같다. 같은 사료를 보더라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결과는 정반대가…wisdomandjustice (82)in sct • 3 years ago북한 중국관계 (박영실) 28, 중국인민지원군의 철군에 대한 한국과 미국의 인식in sct • 3 years ago북한 중국 관계(박영실) 27, 중국인민지원군의 북한 철군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in sct • 3 years ago북한 중국 관계(박영실) 26,중국인민지원군 철수정전협정 체결이후 북한에 주둔한 중국인민지원군의 규모는 모두 120만명이었다. 17개군단과 제33사단, 포병, 고사포병, 장갑병, 공병, 철도병, 후방병참부대, 후방경위부다, 지원군 총사령부 및 각 병단기관과wisdomandjustice (82)in sct • 3 years ago북한 중국 관계(박영실) 25, 8월 종파 사건 군내 숙청1956년 8월 종파사건은 1953년 스탈린 사망이후 소련에 새로운 정권이 들어서면서 기존의 공산주의 운동을 벗아난 소련을 추종하는 북한내의 연안파와 소련파들의 김일성에 대한 도전이었다.(박영실 218) 김일wisdomandjustice (82)in sct • 3 years ago북한 중국 관계(박영실) 24, 1956년 8월 종파사건의 발단스탈린 사후 소련에서는 스탈린 격하 운동이 벌어졌다. 이와함께 중국도 소련의 변화를 외면하기 어려웠다. 그리하여 내부적으로는 중국 상황에 적합한 노선을 취사선택했다. 북한은 소련과 중국의 변화와 다른 입장을wisdomandjustice (82)in sct • 3 years ago북한 중국 관계(박영실) 23, 8월 종파사건이전의 연안파와 소련파 정리in sct • 3 years ago북한 중국 관계(박영실) 22 정전협상이후 북중갈등 현상2019년 12월 7일 박영실은 정전협상 기간 중 포로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