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증인 노드 세팅하기 2탄

in SteemCoinPan •  2 years ago 

안녕하세요 ayogom 입니다.
몇일 전에 스팀 증인 노드 세팅하기 1탄 를 작성했고, 드디어 오늘 페이아웃 되었네요. 제가 해당 글을 쓸때, 페이아웃 쯤 되면 모든 정상화가 될 것이라고 했었는데요. 사실 정상화는 되지 못했습니다. 어디서 에러가 난 것인지 중간에 꺼져버렸습니다 -_ㅠ

그래서 이번글에 소개하려고 했던 꼼수를 바탕으로 마무리 했습니다. (꼼수는 해당 글 하단에 소개 예정입니다.)

증인 노드의 운영 모습입니다. 블럭별로 어떤 증인이 블럭을 생성 했는지 해당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증인 노드가 정상적으로 생성되는 모습을 보게되면,

이전과 같은 ./run.sh remote_wallet 이 아닌 본인 노드를 통해 접속을 할 수 있습니다.

증인 노드에 키 값을 등록해야 합니다.

./run.sh wallet

지갑에 접속 한 후 1탄에서 설정한 패스워드로 지갑을 오픈 합니다.

unlock "mysupersecurepass"

그리고 이제 체인에 자신의 사인키를 등록해야 합니다. 등록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update_witness "ayogom" "https://steemit.com/@ayogom" "STM8SqFt2ZCRTghS9DcpVHWAeuW7MdbZDgZZ2uyUEaYyep4CJzwh5" {"account_creation_fee":"3.000 STEEM","maximum_block_size":65536,"sbd_interest_rate":0} true

계정명과 웹페이지 주소 그리고 지난 1탄 지갑에서 만들었던 키 값의 공개키를 넣고, 계정 생성 비용이라든지, 블럭 사이즈를 결정해서 넣습니다.
보통 다들 3steem에 사이즈는 65536 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동작을 시키면 아래와 같이 체인에 들어갑니다.

이 키 값을 바탕으로 블록을 생성하게 됩니다.

  • 이 포스팅을 끝으로 공개된 제 키 값은 변경 하겠습니다.

그럼 이제 실제로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봐야겠죠?

블럭 생성은 1사이클에 21개의 노드가 돌아갑니다. 탑증인은 매 주기마다 블럭을 생성하고요 백업 증인은 높은 순서부터 순차적으로 생성을 하게 됩니다. 보통 50위 정도 되면 약 2시간 30분에 1개 정도 생성을 하게 됩니다.

만약 증인 보상이 궁금하시다면 steemworld 에 접속하셔서 알고 싶은 증인의 계정을 치시면 대략적인 보상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들면 현재 43위인 @jianan 증인의 현재 보상은 532.75 SP 입니다.
( 증인 보상은 steem이 아닌 steempower로 지급됩니다)

정상적으로 블럭을 생성했다면 다음은 피드 프라이스를 넣어야 합니다.이건 별도의 글에서 시간날때 또 쓰도록 하고, 그외에 위에서 언급한 리플레이(오래걸리는)를 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증인 노드의 데이터를 보면

"blockchain" 폴더가 있습니다. 최신 노드에서 해당 데이터를 받아오면 그 시점에서 이어서 블록생성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config.ini 파일에서
shared-file-dir = /shm/ 을 아래와 같이 주석 처리 합니다.

쉽죠? 이렇게 하면 5일이상 걸리는 리플레이를 하지 않고 블럭 생성이 바로 가능 합니다. 하지만 해당 파일이 약 350G 정도 되기 때문에 파일을 받는데 시간이 좀 걸리긴 합니다 ㅎ

혹시나 노드를 운영해보고 싶으신 분이 계신다면 제 파일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제 증인 노드는 서버 비용 충달 시까지 임시 운영 예정입니다. 증인 활동을 하는 것은 아니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작성 예정인 글 List

  • 스팀 증인 노드 세팅 방법 1탄
  • 스팀 증인 노드 세팅 방법 2탄
  • Nodejs 를 이용한 스팀 API 사용해보기
  • @tipu 사용법 1탄
  • @tipu 사용법 2탄
  • 비밀 메모 사용 방법
  • 스팀에 표시되는 달러표시의 의미
  • Steemit wallet의 History 부분
  • sct 스테이킹으로 보팅받는 방법
  • zzan 스테이킹으로 보팅받는 방법
  • 업비트 이용방법
  • 스팀/스달 입금 출금 방법
  • 해킹 대비법
  • 스팀잇 글 작성 문법 [마크다운편]
  • 스팀잇 글 작성 문법 [HTML 편]
  • 증인투표 방식 (직접 투표 & 프록시 위임)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는 글

스팀잇 기본 이야기

스팀잇 심화 이야기

스팀잇 보상과 연결되는 이야기

해킹과 관련된 이야기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US$80.50](▼16%)[SONGJING]SONGJING SJ-125E 제습기 / 송징 SJ-125E 제습기 / 36평적용 / 165W 고출력 / 대용량 물탱크 / 관부가

WWW.QOO10.COM

@ayogom transfered 2.4 KRWP to @krwp.burn. voting percent : 4.33%, voting power : 81.47%, steem power : 1766506.89, STU KRW : 1200.
@ayogom staking status : 576 KRWP
@ayogom limit for KRWP voting service : 2.304 KRWP (rate : 0.004)
What you sent : 2.4 KRWP
Refund balance : 0.096 KRWP [53668164 - 88ac3b37a600f8873dabe9e5171cbaf12cbba6b6]

ㅎㅎㅎ 저같은 50대 독수리 타법 컴맹은 뭔소리인지 아무것도 모르겠습니다 ㅎㅎㅎ. 호기심이 많아서 궁금도 하지만 진짜 한 문장도 이해가 ㅋㅋㅋ.

증인노드를 돌릴경우에 40위권의 경우 500sp정도 되는것 같은데, 서버 트래픽은 어느정도 나올까요? 예를 들면 aws같은거 쓸 경우 유지비용은 어느정도 들까요?
요즘에 돈복제의 시기다보니 이런것도 또 궁금하네요.

AWS는 제가 사용해 보질 않아서... ㅠ
근데 예전에 비용이 30 이상 나오는 걸로 들었던 것 같습니다.

넵 감사합니다. 데이터 트래픽이 많나보네요.

@banguri님이 당신을 멘션하였습니다.

https://www.steemit.com/@banguri/5-12-successg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