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ayogom 입니다.
어제 [NodeJS] API 사용 법 14편 송금 확인해보기 에 이어서 오늘은 2탄입니다. 다른 방법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어제 알려드린 것은 실시간으로 체크 하는 것이고 오늘은 기록을 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게 될 것 같습니다.
오늘 사용된 API는 getAccountHistory
입니다. 최근에 지갑 접속이 안될때 보통 이녀석이 문제가 있어서 접속이 안되었습니다. 이 녀석이 지갑의 히스토리를 보여주기 때문이죠.
일단 샘플코드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var steem = require('steem');
steem.api.getAccountHistory('ayogom',-1,10,(err, result) => {
console.log(result)
});
출력을 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뭔말인지 모르겠네요 ㅎㅎ 설명을 드리면 앞에 -1
은 최신순 혹은 기준을 의미 합니다. 그리고 뒤 10
는 최신부터 10개까지를 의미 하는데, 과거부터 확인을 하려면 첫번째 숫자가 기준 숫자가 됩니다.
예를들자면 지금 출력된 내용을 살펴보면 302570, 302571, 302572.... 이게 해당 계정의 알림 정보가 있는 겁니다. 여기서 -1
을 선택하면 최신순으로 볼 수 있고, 302570
이라고 하고 2
를 쓰면 302570에서 뒤로 3개의 로그를 보여줍니다. (0 포함)
var steem = require('steem');
var steem = require('steem');
steem.api.getAccountHistory('ayogom',302580,2,(err, result) => {
console.log(err,result)
});
그래서 어디서부터 체크할지 모르겠고, 최신을 살펴보겟다 싶으면 -1
을 하시면 되고 알고 계시다면 정확한 숫자를 넣어서 확인 하시면 됩니다.
그럼 다시 파워업 기록을 찾아볼까요?
var steem = require('steem');
steem.api.getAccountHistory('ayogom',-1,500,(err, result) => {
for (var i=0; i<500; i++){
if ( result[i][1].op[0] == "transfer"){
console.log(result[i][1].op[1]);
}
}
});
짜짠~ 이렇게 어제 테스트했던 내용들이 보여지네요.
이걸 응용할 수 있는 분야를 생각해보면, 파워업도 체크 할 수 있습니다
transfer
대신 transfer_to_vesting
를 넣어서 하면 됩니다.
500 스파업했죠? 응용할 수 있는 분야가.... 생각나려고 합니다 ㅎㅎ
뭐 아무튼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 스팀관련해서 궁금하신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 문의 주세요
작성 예정인 글 List
- Nodejs 를 이용한 스팀 API 사용해보기 (계속)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는 글
스팀잇 기본 이야기
- 복잡한 키&패스워드는 그만 손쉬운 로그인 키체인의 사용법
- 계정 옆의 숫자 평판? "reputation" 이란
- 스팀잇 내부 거래 사이트, 마켓
- 오랜만에 스팀잇에 돌아왔더니 로그인이 안됩니다 (Logging in with non-posting key)
- 스팀잇에 기존 사용하던 트론 지갑을 연결하는 방법
- 스팀 체인의 패스워드 / 키의 역활
- Steemit의 태그 사용법과 커뮤니티스 사용법
- Steemit 프로필 변경 방법
- 스팀파워 임대가 안된다 왜?
- 스팀잇 계정 만들기
- 스팀잇 저장 보상의 종류와 뭐가 좋을지
- 스팀잇 속닥속닥 비밀 메모 사용하기!
- 스팀/스달 입금, 출금 그리고 업비트 이용방법
- 갑자기 steemit 사이트가 접속이 안된다면?
- 스팀잇 내에 붉은 글씨 사용법
- 스팀잇 지갑에 접속이 되지 않을 때
- 스팀잇 글 작성 문법 [마크다운편]
- 스팀잇 글 작성 문법 [HTML]
- 스팀잇 가독성 및 작성을 편하게 해주는 "Steemit.com Enhancer" 툴
- 스팀 키 권한을 해제 해 보자
니트로스 (SCT, ZZAN 등 ) 이야기
- Steem체인의 또하나의 커뮤니티 "zzan"
- Steem체인의 또하나의 커뮤니티 "sct"
- [요청] 스팀엔진 Explorer 가 접속이 되지 않아요
- [요청] 스팀엔진 사용방법
- SCT 포스팅피 납부 확인 및 납부 방법
- 니트로스(SCT, ZZAN, AAA) 에 대한 설정 확인해보기
스팀잇 심화 이야기
- 스팀의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 하루에 스팀 리워드 풀에 포함되는 스팀은 얼마나 될까?
- 하루에 도대체 어느정도의 스팀은 생성될까요?
- 내가 보팅 했더니 보상이 떨어졌다? 왜?
- 스팀달러가 1달러를 유지하는 방법
- 글이 써지지 않아요 왜? Resource Credits!? Your transaction failed to process
- 스팀잇 에서의 $ 는 USD(미국달러) 인가요?
- 스팀은 DPOS 기반의 블록체인입니다. 그럼 DPOS가 뭔가요?
- 증인에 역활은 무엇일까
- 스팀 증인 노드 세팅하기 1탄
- 스팀 증인 노드 세팅하기 2탄
- Steem Node 정리 (Full node 1편)
- Steem Node 정리 (Full node 2편) -설치
- 최신 Full node 설치 1편
- 최신 Full node 설치 2편 Jussi 설정
- 최신 Full node 설치 3편 Jussi 설정 (Hivemind 연결) 결론 실패
- 증인 노드 feed price 업데이트 방법
스팀잇 보상과 연결되는 이야기
해킹과 관련된 이야기
개발과 관련된 이야기
- Nodejs 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설치 하는지?
- [NodeJS] API 사용 법 1편 스팀 라이브러리 설치
- [NodeJS] API 사용 법 2편 보팅을 해볼까?
- [NodeJS] API 사용 법 3편 포스팅을 해볼테다!
- [NodeJS] API 사용 법 4편 예약 포스팅 해보기
- [NodeJS] API 사용 법 5편 예약 포스팅 해보기 -2편 (포스팅 수정)
- [NodeJS] API 사용 법 6편 예약 포스팅 해보기 -3편 (매일매일 글쓰기)
- [NodeJS] API 사용 법 7편 스팀 블럭 모니터링 하기
- [NodeJS] API 사용 법 8편 스팀 블럭 모니터링 하기 2편
- [NodeJS] API 사용 법 9편 Nodejs가 가지는 불편함 (콜백지옥)
- [NodeJS] API 사용 법 10편 간단한 보팅 봇 만들기
- [NodeJS] API 사용 법 11편 Steem enjin API 사용해보기 (설치편)
- [NodeJS] API 사용 법 12편 Steem enjin API 사용해보기 (자동 파워업!)
- [NodeJS] API 사용 법 13편 송금 해보기
- [NodeJS] API 사용 법 14편 송금 확인해보기
@banguri님이 당신을 멘션하였습니다.
https://www.steemit.com/@banguri/6-17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ayogom transfered 5 KRWP to @krwp.burn. voting percent : 6.74%, voting power : 59.72%, steem power : 1790123.10, STU KRW : 1200.
@ayogom staking status : 930 KRWP
@ayogom limit for KRWP voting service : 0.93 KRWP (rate : 0.001)
What you sent : 5 KRWP
Refund balance : 4.07 KRWP [54704457 - 825a4abad5b37f651a3b79e379c62ea6630d4684]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