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DC versus BTC, 최근 유럽중앙은행 보고서의 견해

in SteemCoinPan •  8 months ago 

유럽 중앙 은행 (ECB) 가 국경 간 지불 매체 식별을 위한 최근 연구에서 결국 CBDC 가 BTC 를 넘어설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19개 EU 국가의 중앙은행인 유럽중앙은행은 최근 'Towards The Holy Grail of Cross-border Payments' 라는 논문에서 비트코인을 가장 유의한 비보증 암호화 자산으로 언급했습니다.

하지만 이 비트코인의 네트워크에서의 정산은 매 10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산 시점에 이미 가치 평가가 구체화되어 실제로는 비트코인 결제가 더 복잡해진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비트코인의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는 탭루트나 라이트닝 네트워크 등의 업그레이드를 고려하지 않기는 했지만 '본직적으로 비싸고 낭비'라고 결론 지었습니다.

반면 CBDC는 외환 전환과의 호환성이 높아 CBDC 가 국가 간 결제에 더 적합하다고 주장했으며, 통화 주권 보존과 중앙은행과 같은 중개자를 통한 즉시 지불의 용이성이 그 이유로 언급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사실 BTC 가 국가간 지불수단으로의 역할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그것이 BTC가 주목받는 이유는 아닐 것입니다. 결국 CBDC 와 BTC는 다른 측면에서 병렬적으로 함께 시장을 점유해나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This post has been upvoted by @italygame witness curation trail


If you like our work and want to support us, please consider to approve our witness




CLICK HERE 👇

Come and visit Italy Community



image.png

Hi @cancerdoctor,
my name is @ilnegro and I voted your post using steem-fanbase.com.

Come and visit Italy Community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default.jpg

BTC는 10분이라는 핸디캡이 있으니 지불수단보다는
유한한 수량의 가치저장 수단 정도로 남지 않을까요?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ㅎㅎ

BTC의 전송 속도는 레이어2에서 라이트닝 네트워크로 이루어진다면 기술적 문제는 없어보입니다. 다만 국가는 CBDC 를 준비할 것이지만, 국가마다 다른 기술을 사용하는데 표준을 확립은 길은 험난할 것 같습니다. BTC 는 중앙이 없기 때문에 표준을 확립할 노력과 필요가 없지요.

정확한 지적이십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