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SC] PancakeSwap의 IFO 3.0 출시, CAKE의 위기 극복이 가능할까?

pancakeswap.png

팬케이크스왑에서 새로운 방식이 적용된 IFO 3.0을 발표하였습니다. 지금까지의 팬케이크스왑 IFO의 변화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IFO 1.0 : CAKE-BNB LP 토큰으로 진행 / 참여자 대상 n분의 1 배분
  • IFO 2.0 : Basic 풀과 Unlimited 풀로 나누어 진행 / 다계정 어뷰징 방지를 위해 프로필 설정 정책 도입
  • IFO 2.5 : LP토큰이 아닌 CAKE 토큰으로만 진행

팬케이크스왑에서 공식적으로 IFO 2.5라고 언급한 것은 아니며 참여하는 토큰이 변경되었다는 점에서 제가 임의로 지칭한 것입니다

  • IFO 3.0 : 사전에 1주일 동안 CAKE 스테이킹을 통한 크레딧 방식 도입

average.png

변경된 방식은 IFO가 진행되기 전에 토큰 홀더들이 CAKE를 약 1주일 간 스테이킹을 하여 평균 스테이킹 수량에 따라 참여가능한 CAKE토큰 수량이 정해지는 방식입니다.

해당 IFO 스테이킹풀은 기존의 CAKE 오토 컴파운드 시럽풀을 사용하기 때문에 스테이킹 기간 동안에 CAKE토큰을 추가로 얻을 수 있으며 자동으로 컴파운드(클레임 후 스테이킹)이 됩니다.

지금까지 팬케이크스왑 팀은 IFO 진행 시 최대한 고르게 분배를 하는 것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면, 새롭게 적용되는 룰은 고래이든 플랑크톤이든 상관없이 충성도가 높은 홀더를 우대하는 것으로 정책이 변경된 것으로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new chef.png

알만한 분들은 이미 다 알고 계시겠지만 팬케이크스왑팀(셰프들)은 기존 셰프들이 떠나고 새로운 구성원들로 대거 세대교체가 되는 큰 변화를 경험 중에 있습니다.

todolist.png

그러다보니 현재 진행 중인 개발사항이나 향후 예정되어 있는 로드맵에서도 이전처럼 빠른 속도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으며, 항간에는 셰프들의 교체와 함께 그동안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던 바이낸스와 관계가 그다지 좋지 않다는 이야기도 돌고 있는 상황입니다.

decoupling.png

이러한 상황은 CAKE/BNB 차트에서 확연하게 확인을 할 수 있는데, 출시 후 CAKE는 일종의 BNB 레버리지 토큰과 같은 움직임을 보여오다가 꽤 오랜 기간 동안 커플링된 움직임을 보여왔으나 언제부터인가 디커플링되어 BNB의 반등에도 불구하고 힘을 쓰지 못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ake chart1.png

지난 9월 말부터 BNB와 완전히 디커플링되며 지금까지 지속적인 하락을 보이고 있는데 그 배경으로는 다음과 같은 원인들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암호화폐 시장의 전반적인 약세
  • 게임, 메타버스, NFT의 강세 및 DeFi 토큰들의 약세
  • BSC 체인 자체의 약세
  • 기존 팬케이크스왑 1세대 셰프들의 이탈
  • 지지부진한 개발 진행 상황으로 인한 실망감
  • CAKE 인플레이션율 감소 정책에 따른 APY하락

많은 사용자들이 기대했던 NFT마켓과 Pancake Squad의 경우에도 새로운 뭔가가 없었고 렌딩 기능도 출시되지 못하고 있으며, 늘 빠른 트렌드를 선도해왔던 팬케이크스왑에서 GameFi 트렌드도 쫓아가지 못하는 모습은 BSC 디파이 생태계에도 슬슬 세대교체가 진행 중인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까지 듭니다.

transaction vol.jpg

팬케이크스왑의 명성을 이을 유력후보로 소개드린 적 있는 Biswap이 어느덧 주간 거래량 기준으로 팬케이크스왑의 절반 수준까지 치고 올라오고 있는 상황이라 팬케이크스왑이 지켜왔던 지배력도 어느 정도 분산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ifo.png

팬케이크스왑에서 지금까지 진행해 온 IFO 프로젝트들 중에서 바이낸스 런치패드와 겹치는 프로젝트를 제외하고는 현재 제대로 살아남아 있는 프로젝트가 없다시피 한 수준입니다.

앞으로 추가될 신선한 기능이나 아이디어가 없다면 개인적으로는 BSC 기반 프로젝트들 중에서 유망한 프로젝트들을 잘 선별하여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을 가진 프로젝트 대상 IFO에 집중하는 것이 단순히 토큰 방출률을 감소시키는 것보다 더 우선시하는게 좋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드네요.

<본 포스팅은 제 티스토리 블로그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디지털자산) 거래소 거래수수료 할인 가입링크 안내]

① 바이낸스(Binance.com) 가입링크 (거래수수료20% 페이백) : 바로가기
② 바이낸스 선물 가입링크 (1달간 거래수수료 10% 페이백) : 바로가기
③ 고팍스(GOPAX) 거래소 가입링크 (가입즉시 5,000원 원화 또는 코인지급) : 바로가기
④ 바이비트(Bybit) 거래소 가입링크 (거래수수료 15% 할인) : 바로가기
⑤ FTX파생상품 거래소 가입링크 (거래수수료 5% 페이백) : 바로가기
⑥ 코인원(Coinone) 거래소 가입링크 (거래수수료 10% 페이백) : 바로가기
⑦ 폴로닉스(PolonieX) 거래소 가입링크 (거래수수료 10% 페이백) : 바로가기
⑧ OKEx 거래소 가입링크 (110달러 리워드+40달러 수수료쿠폰) : 바로가기
⑨ 코인리스트(CoinList) 토큰세일 플랫폼 가입링크 (100달러 이상 거래시 10달러 상당의 BTC지급) : 바로가기
⑩ 후오비 글로벌 가입링크 : 바로가기
⑪ 후오비 코리아 가입링크 : 바로가기
⑫ KuCoin 가입링크 : 바로가기
⑬ Gate.io 가입링크 : 바로가기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image.png

@donekim transfered 10 KRWP to @krwp.burn. voting percent : 87.12%, voting power : 33.90%, steem power : 1889119.27, STU KRW : 1200.
@donekim staking status : 8001 KRWP
@donekim limit for KRWP voting service : 8 KRWP (rate : 0.001)
What you sent : 10 KRWP
Refund balance : 2 KRWP [59860988 - f447771b5ad643a32df0e536fa8c67e1ecbc7b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