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 시장은 한창 뜨거웠던 지난 7, 8월 대비하여 많이 Cool Down되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신규 프로젝트가 런칭하면서 한정판 NFT를 출시하고 있고, 상당히 비싼 초기 진입가에도 많은 크립토 투자자는 기꺼이 이를 구매하고 있습니다.
NFT의 종료와 주제도 다양해지면서, 동물들의 표정, 복장에 차별점을 만들면서 펭귄, 뱀, 원숭이, 고릴라, 고양이, 개를 주제로 한 NFT들이 있고, 이중 Boring Ape Yacht Club은 상당히 고가에 거래되면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Bored Ape Yacht Club
거기에 최근 Loot project를 시작으로 Text를 기반으로 한 NFT가 시작되어, Community에 의한 자발적, 분산화된 Bottom-Up 방식의 가치창조가 시도되고 있고, 이러한 시작점은 단순한 의미없어 보이는 text의 나열이 있는 NFT 8000개였습니다.
현재 텍스트 기반의 NFT Project는 과열된 열기가 조금씩 진정되는 모습입니다.
NFT를 구매하는 이유는,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가장 클 것이고, 그리고 이러한 가격 상승은 그 논리적인 이유를 따지기 전에 전반적인 상승 분위기가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좀더 따지고 가치를 고민하는 분들은 희소성을 확인하고 있고, NFT에 기반한 추가 효용성과 Airdrop등도 확인하고 있습니다.
종류가 다양해지고 참여가 확대되면서, 조금씩 매니아층이 두터워 지면서, 경제적 이익 외에 창의적인 참여와 그러면서 본인에게 부여된 소유권에 대한 부분을 강조하고 좋아하는 투자자, 참여자들도 많이 생길 것으로 생각합니다.
Cybersamurai
블록체인, 가상화폐 그리고 NFT에 이르는 크립토세계는 이제 경제적 이익 추구에서, 점차 문화적 욕구 충족 그러면서 스스로를 주인공으로 만들면서 모두가 창조하는 세계로의 진화의 모습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분산된 각각의 NFT가 결합하고, 각각의 깊어지는 세계관, 표준화된 기술에 의거한 각각의 세계관들의 결합들이 진행이 되면서 하나의 스토리가 만들어지면, 이는 또다른 예술 또다른 무형자산으로서 가치를 가지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중앙화된 NFT와 그에 따른이야기 및 자산들과, 분산화된 그룹들로 그 종류가 나뉠수도 있겠네요.
저는 여전히 푸른바다와 하늘 그리고 나에게 쏟아지는 달빛의 그림이 좋습니다. 그것이 온라인이든, 오프라인이든 움직이지 않는 그냥 그대로의 그림도 좋습니다.
아마도 점차 NFT는 기존 예술의 영역을 본인만의 방식으로 받아들여서, 또다른 방향을 만들어 갈 지도 모르겠습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harryji transfered 23 KRWP to @krwp.burn. voting percent : 43.97%, voting power : 59.25%, steem power : 1845517.95, STU KRW : 1200.
@harryji staking status : 8511.414 KRWP
@harryji limit for KRWP voting service : 8.511 KRWP (rate : 0.001)
What you sent : 23 KRWP
Refund balance : 14.489 KRWP [57453111 - 557d93e21b56ce25a7265f6ba83f5f463a064a56]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