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선생의 돈되는 경제뉴스 ('22.01.20 (목))
굳모닝보다 돈이 더 좋기에 이름을 돈되는 경제뉴스로 바꿨습니다.
돈이 있어야 굳모닝이 되지 않겠습니까?
we need more money. (저 돈 많이 필요해요)
- 반전세 급증
반전세가 급증한다는 데이터가 나왔습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임대차 계약건수는 총 14000건입니다.
이 중 월세 거래량이 42%를 넘어섰습니다. 2011년 이래 최대 수치라고 합니다.
전세가격은 오르고 대출은 조이고 돈 맡기기도 불안해지다보니 아무래도 반전세 월세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집주인에게 무이자로 돈을 맡기기보다 자기가 주식 투자하면 더 벌 수 있을거란 "상상"도 했기 때문 아닐까 합니다.
중요한건 돈이 엄청 많은 시대여도 돈이 부족한 사람도 많은게 현실이기 때문이겠죠.
최근에 반전세가 증가했던 시기는 약 2015~2016년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걸 돌파한건 빚내서 집을 샀던건데, 이번에는 어떻게 돌파할지 관망합시다.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20119010011068
- 미국은 0.5%씩 인상, 중국은 돈풀기
미국은 인플레가 거세니 0.5%p씩 금리를 올려야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원래는 0.25%p씩 움직이는데 인플레가 심상치 않으니 그렇단거겠죠,.
반면 중국은 더 빨리 돈을 풀어서 경기 하방 압력을 막겠다고 합니다.
이 둘이 서로 맞서게 되면 코스피는 보통 어려웠다고 합니다.
이유는 중요하지 않고, 이럴 땐 etf를 통해 미국 spy로 보내거나 과창반etf도 눈여겨보는게 더 낫습니다.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2/01/57891/
- 넷플릭스 실적 발표 (1월 20일)
넷플릭스가 1월 20일 실적 발표를 합니다. 빅테크 기업 중 선빵으로 치고 나옵니다.
4분기 성과에 나스닥의 향방이 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어서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애플이 연달아 실적발표를 하는데요.
기술주가 금리인상으로 어려운 이 때에 기술주들이 예상보다 실적이 잘 나오면 나스닥의 반등 모멘텀이 될 수 있습니다.
인플레를 이겨내면서도 나스닥이 반등할 수 있을지 보면서 미국주식을 해야겠습니다.
기어이 어려우면 나스닥 etf인 QQQ보다 S&P500 etf인 spy가 나을 수 있을 것입니다.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2/01/58037/
매일 아침 읽는 경제뉴스 입니다.
핫한 이슈들을 간략히 해석해줘서
가볍게 읽기 좋은데요.
오늘 눈에 들어온건
미국은 금리인상, 중국은 돈풀기 입니다.
이런 현상으로 인해 코스피가 더 어렵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저는 주식보다 암호화폐에
더 관심이 있으니.. 해당 소재가 암호화폐에는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생각해보면..
일단 위완화 가치가 하락 할 것 같고
가치 하락에 방어기제로 안전자산에
자본이 더 몰릴 수 있을것 같은데
수혜 효과로 비트코인이 더 올랐으면 싶다.
물론 중국에서 암호화폐는 현재 금지지만
우회 루트로 충분히 들어올 수 있지 않을까..?
아니면 그냥 중국내 자산가치가 오르려나..
어쨋든 위완화 더 풀면 인플레이션은
더 심해지는거 아닐까..?
매우 불투명한 미래다 ㅎㅎ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