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쉽지 않은 문제임.
- 개별 위험항목의 부실 변별력 검증
- 평가항목의 상관관계 분석
- 신용등급의 변별력 검증
- 신용등급의 변동성
- 하위 모형의 변별력 검증
- 변별력의 안정성 검증
- 등급분포의 안정성
아 ... 뭐 이런 여러가지 항목을 검증 해야 됨.
그래서 우리가 자주 듣게 되는 "신용등급" 뭐 이런거 나오는 것임.
좀 더 쉽게 정리 해보면 "위험항목" 도출 후 해당 "항목별 점수" 를 매긴 후 해당 점수를 관리 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KCB(코리아 크레딧 뷰로) 가 뭐 대표적 회사라 보면 될거 같음. 그런데 뭐 요즘은 오픈뱅킹이후로 대상 정보등을 통해 토스, 카카오뱅크 등에서도 신용평가 점수를 제공해 준다. 그것도 클릭 몇번으로 손쉽게 ㅋ
여튼 뭐 관련 비스므리한 프로젝트를 수행 예정인데 (제안중) 음 어렵긴함. 이건 뭐 개발영역 보단 모형 개발이 더욱 중요한 부분인지라.
그냥 일상의 기록을 남기는 잡설 이네요 :)
@wonsama transfered 1.0 KRWP to @krwp.burn. voting percent : 9.36%, voting power : 59.44%, steem power : 2024435.37, STU KRW : 1200.
@wonsama staking status : 822.929 KRWP
@wonsama limit for KRWP voting service : 0.822 KRWP (rate : 0.001)
What you sent : 1.0 KRWP
Refund balance : 0.178 KRWP [50663656 - 9de0ae489f7f3b0f4f5835f292fc50362db973fa]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