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락장에 스테이킹으로 하루 수익 0.23% ~ 0.6% 달성하는 법

in SteemCoinPan •  8 days ago  (Edited)

 안녕하세요. wue3ra 입니다. 

 일단 광고는 아닙니다.

 

또 곡괭이 디파이 그런건가?

라고 생각해서 무심코 넘겼던 곳이였는데요. 

 

약 10달전에 출시한 서비스입니다.


모스덱스라는 곳은 차익거래를 이용하여 꾸준히 수익을 가져오는 곳입니다.
 

모스덱스(MOSDEX)란?

모스덱스(MOSDEX)는 차익거래를 통해 리스크 없이 수익을 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매매로 수익을 기대하려면 그에 맞는 리스크를 항상 감당하기 마련인데요매매와는 다르게 리스크를 지지 않고도 차익거래를 통해 안전하게 수익을 낼 수 있다는 내용이 참 흥미롭습니다.

 
위 내용을 읽어보면 모스덱스는 AI 및 머신러닝 툴을 이용하여 차익거래로 수익을 만드는 구조입니다.실제로 해외거래소를 살펴보면 차익거래를 지원하는 곳이 있는데요. 

 실제로 바이비트 홈페이지를 살펴보면 이렇게 차익거래를 지원하기도 합니다.


이전에 바이비트 거래소 자동매매인 그리드매매를 소개하면서 차익거래에 대해 잠깐 이야기를 했었죠.

해외거래소에서 차익거래를 활용할 때 문제는 우리가 직접 코인을 골라야한다는 점입니다.즉, 비트코인/이더리움 이런식으로 코인을 따로 선택해줘야하는데 어떤 코인에서 어떤 차익이 발생할지 알 수 없다는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또한 직접 차익거래를 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거래소간 코인 전송 실수, 전송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의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직접 차익거래를 하는 것이 상당한 리스크를 수반하는 것이죠. 

그런 단점을 커버한 케이스

 

 실제로 모스덱스 홈페이지에 가보면 이렇게 실시간으로 어디 거래소에서 어떤 코인을 이용해 차익거래를 했는지 표시가 됩니다. 

 내용을 살펴보면 예를 들어 HNT 헌트 코인을 쿠코인 거래소에서 사서 게이트아이오 거래소에 팔았다. 이런식으로 나오는데요.
똑같은 코인이 거래소간에 가격차이가 발생하면 그 괴리를 이용하여 수익을 내는 구조로 보여집니다. 

 바이낸스 

 후오비

MEXC 

 이렇게 보시면 바이낸스의 비트코인과 다른 거래소의 비트코인가격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이런식으로 저렴한 가격의 거래소에서 코인을 구매한 다음에 조금 더 비싼 거래소에서 코인을 팔아서 약간의 차익을 얻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실제로 차익거래를 통해 얻은 수익을 보면 굉장히 적은 수익률이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063770?sid=101

 그리고 위 수익률에서 모스덱스가 일정 수수료를 가져가기때문에 실제로 우리들이 기대할 수 있는 수익은 더 낮을 수 밖에 없습니다.

사실 러그풀 가능성이 낮아지려면 이렇게 수익구조가 이해되어야하죠.

하지만 AI 기반 자동 차익거래라는 점에서 꽤나 괜찮은 수준의 수익률이죠. 

https://docs.mosdex.com/tutorial/mosdex-staking-benefits

실제로 모스덱스 백서를 읽어보면 스테이킹 보상과 수수료가 고정되지않는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즉, 상황에 따라서 수익률과 수수료가 변동되며 그에 따라 우리들이 얻어갈 수 있는 수익도 달라진다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수익변동의 범위가 엄청 크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물론 시장 상황이 바뀌고 시간이 지나봐야 얼마나 수익률에 변동이 있을지 알 수 있겠지만 그 전엔 크게 상관없을 것 같습니다. 

 실제 스테이킹 수익률은 어떨까? 

 실제로 테스트해보기 위해 14일간 스테이킹을 해봤습니다.1000달러를 입금해서 35달러의 수익을 얻었는데요.

2주 동안 약 3.5% 수익을 얻은셈입니다.

결코 적은 수익률이 아닌데요. 

 스테이킹 기간은 14일, 30일, 90일 이렇게 총 3개의 기간이 존재합니다.

여기서 저는 14일을 선택했고 하루에 0.23%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럼 0.23 * 14 = 3.22 이렇게 나오는데요.

0.23% 수익을 14일간 꾸준히 얻는다면 약 3.22% 수익을 얻을 수 있으므로 실제로 얻은 수익과 비슷합니다. 

 여기서 30일, 90일 스테이킹 기간이 길어질수록 얻을 수 있는 수익률의 크기도 커집니다.

예를 들어 30일간 스테이킹한다면 하루에 0.43%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데요.그럼 한달에 12.9%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90일간 스테이킹을 한다면 하루 0.56%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0.56% * 90일 = 50.4%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기대수익률이 상당히 큰 편이죠.
즉, 1000만원 투자시 90일 (3달) 뒤에 500만원정도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셈입니다.

수익률이 큰 대신 90일동안 언스테이킹을 할 수 없다는게 유일한 단점이죠. 

 

이번에 스테이킹으로 얻은 수익률을 얹고 추가로 더 입해서 1만달러 30일동안 예치, 1달 뒤 1300달러 수익 기대

30일 뒤에 수익금을 언스테이킹해서 찾은 뒤 재투자하면 복리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

 14, 30, 90 이렇게 예치한 기간을 넘어선 뒤로는 언제든 언스테이킹이 가능한데요.그 때부터는 하루에 0.08%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이야기했듯 14, 30, 90 이렇게 스테이킹을 예치하면 해당 기간이 지나기 전에는 언스테이킹을 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돈이 일정기간 묶여도 된다는 생각으로 접근한다면 꽤나 괜찮은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반대로 너무 오랜기간 묶이는게 싫다면 14일짜리 만기되면 수익금과 재투자 이런식으로 진행하면 되겠죠.물론 90일 한번에 스테이킹하는 것보단 수익률이 적겠지만 오랜기간 돈이 묶이지않아도 된다는 장점은 있습니다.
물론 수익률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위 수익률이 보장된다면 사기죠.흔히 스테이킹에서 이자를 주는 개념이 아니라 차익거래를 통해 예상 수익률을 보여주는 것이기때문에 수익률은 언제든 변동될 수 있습니다.이래야 수익구조를 이해할 수 있겠죠.

하지만 해당 수익률의 변동 폭은 크지않을 것으로 보여집니다.대신 스테이킹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우리들이 가져갈 수 있는 수익률 역시 낮아지겠죠.그만큼 차익거래의 기회가 줄어들고 수익을 나눠줘야할 사람들이 많아지니까요.


뭘하든 항상 초기에 하는게 가장 이득입니다.

총량(케파)에 제한이 있다.

 모스덱스 사이트의 대쉬보드를 보면 최대 스테이킹할 수 있는 금액이 정해져있습니다.즉, 최대 케파가 있다는 뜻인데요.일정수준이상 넘어서게 되면 모스덱스에서 스테이킹을 추가로 받지않습니다.
수익률이 좋지만 실제로 차익거래가 가능한 물량의 크기가 정해져있다고 보면 됩니다.그 이상은 수익률이 낮아지거나 차익거래를 처리해줄 물량이 부족하기에 받지않는다고 보면 되겠죠.이건 시장의 거래량이 늘어날수록 처리할 수 있는 물량도 늘어나기에 차익거래 기회 역시 많아진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하지만 시장에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정보의 비대칭은 줄어들고 이로 인해 차익거래의 수익률은 점점 낮아지겠죠.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지금처럼 사람들이 시장에 관심없을 때 참여하는게 훨씬 좋은 구조입니다.

러그풀의 위험은 없을까?

 

이 부분에 대해 관계자와 연락이 되어서 직접 물어봤습니다.

 

 

Q. 바이낸스처럼 중앙화 거래소가 아닌 곳에 입금을 시키려면 올해 디파이 러그풀 사태처럼 러그풀에 대한 걱정을 잠재워야하는데요.백서를 읽어보니 어느정도 구조는 이해가 됩니다.러그풀에 대한 답변이 필요합니다.관계자에게 질문
A. 중앙 집중식 거래소는 감시 시스템이 더 강하기 때문에 잠재적인 rugpulls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파트너님 말이 맞습니다. 그러나 Mosdex는 토큰/코인의 신뢰성에 대해 걱정해야 하는 탈중앙화 거래소가 아닙니다. 대신 BTC 및 USDT의 자동 차익 거래만 제공하므로 러그풀과 관련된 위험이 전혀 없습니다. 바이낸스 또는 수동으로 거래하고 거래를 모니터링하는 다른 거래소에서 거래가 잘못되면 돈을 잃을 확률이 훨씬 높아집니다. Mosdex를 사용하면 자동화된 차익 거래 엔진이 수천 개의 주문서를 스캔하여 최고의 차익 거래 기회를 찾고 이를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Mosdex의 두드러진 특징입니다.카카오톡 관계자 답변

보통 러그풀이 이뤄지는 방식은 사용자들의 자금을 펀딩해서 해당 자금으로 레버리지를 일으킬 때 발생합니다.

즉, 사용자들이 돈내놔! 했을 때 레버리지로 인해 돌려줄 돈이 없는 경우죠.

모스덱스의 경우 레버리지를 이용해 다른 사업을 하는게 아닌 단순 차익거래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라 러스풀의 위험이 현저히 낮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안하다면?

당연한 이야기지만 소액부터 접근해도 되고수익률이 낮은 편이 아니기에 30일, 90일짜리로 스테이킹한 뒤 복리투자를 이용해 일정 수익률이 발생하면 수익금만 남겨두고 원금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접근해볼 수 있겠습니다.


특히 90일짜리(3달) 스테이킹을 할 경우 50%수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50% 수익을 얻은 뒤 원금을 회수하고 수익금으로만 복리로 돌려도 됩니다.

저 역시 같은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구요.
90일이 너무 길다면 30일짜리로 스테이킹 후 30일마다 수익금의 50%씩 출금하는 방식으로 원금을 조금씩 회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30일에 12%정도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1000만원 투자 후 12% 수익은 120만원, 여기서 60만원씩 매달 출금나머지 60만원은 원금과 같이 복리투자

대충 엑셀로 계산해본다면 12개월 잡으면 1000만원 원금이 약 3000만원까지 늘어나있을테고출금한 금액만 1000만원 (원금회수) 나머지 수익금 2000만원정도로 돌리는 셈이 됩니다.

만약 이 기간을 더 단축시키고 싶다면 90일짜리로 돌려야겠죠.

그러면 9개월차에 960만원정도로 원금회수까지 약 9개월이 걸리므로 3개월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본인 상황에 맞게 계산해서 접근하면 되겠죠.

하지만 생각보다 높은 수익률에 모든 돈을 다 들어가기는 좀 그렇고 잃어도 감당가능한 수준에서 접근하는게 좋겠습니다.저 역시 같은 관점으로 잃어도 감당가능한 금액으로만 접근할 생각입니다.

차익거래 기반이기에 러그풀에 대한 큰 걱정은 없지만 조심해서 나쁠건 없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이런 수익을 놓치기에 아까우니 감당가능한 수준에서만 접근해서 후딱 원금회수 후 수익금으로만 굴리면 되겠죠. 

 모스덱스 가입방법

https://mosdex.com/?code=GBK133

이링크로 가입하면 30USDT를 받을수있습니다.

모스덱스 홈페이지 주소입니다.

가입은 굉장히 간단한데요. 

 

홈페이지 상단에서 Connect를 눌러줍니다.

 

 

그리고 Create an account

모스덱스 입금방법 

 홈페이지 상단 Wallet에서 Deposit 클릭처음에는 이렇게 30달러를 무료로 줍니다.이후에 추가입금을 진행하면 되는데요. 

 해외거래소에서 USDT를 보유한상태로 USDT출금을 이용해 입금하면 됩니다.

 ERC20의 경우 3달러로 그나마 저렴한 편입니다.
비트겟 거래소 기준인데요.

최소 입금은 5달러 이상이기때문에 그 이상으로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USDT 모스덱스로 보내는 방법

 

 어떤 해외거래소든 USDT를 보유한 상태면 상관이 없습니다.withdraw를 눌러줍니다. 

 ERC20으로 선택 

 

그 다음 모스덱스에서 Wallet -> USDT의 Deposit 선택

 

 

Deposit USDT에서 네트워크를 ERC20으로 선택

 

 그럼 아래 여러분들의 USDT주소가 나오는데요Copy를 클릭

 다시 해외거래소 Withdraw에 와서 주소란에 붙여넣기

(꼭 주소가 전부 맞는 2번, 3번 확인하세요!) 

 Amount에는 여러분들이 보내려는 금액을 입력하면 됩니다.기본 수수료가 3달러니까 좀 쌔죠.
일단 여러분들이 맞는 주소를 입력했는지 확인도 해야하고 꼭 최소금액으로 보내보시길 바랍니다. 

 예시로 저는 지금 9달러 남아서 9달러를 보내면 수수료 3달러 제외하고 5.9달러가 보내지네요.

꼭 이렇게 소액으로 테스트해보고 나머지 큰 금액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이후 핸드폰, 이메일, OTP인증까지 마치면 전송이 완료됩니다.

수수료 3달러를 2번 3번 내더라도 꼭 소액으로 먼저 테스트해보고 나머지 금액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입금이 완료되면 이렇게 History에 입금내역이 뜨게 됩니다.
 

https://mosdex.com/?code=GBK133

이링크로 가입하면 30USDT를 받을수있습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글을 내리는 것이 좋겠습니다.
거의 동일한 concept으로 이미, 스코판과 한국 community에서 많은 사람들이 가입했다가, 해당 회사가 run away하여 많은 투자자가 그대로 돈을 잃었습니다.
특정시점까지는, 문제 없이 운영하고 돈도 돌려 주다가, 특정 시점이후 모든 정보를 지우고 사라집니다.
운영자 정보, adviser모두 가짜이고, 인터넷 정보를 짜집기 합니다.
그리고, 만약 해당 회사의 직원으로 확인되면, 이제는 법적 책임도 질수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법적인 추적과 책임소재 규명이 더욱 강화되는 추세입니다.

2년전 유행했던 phptrader에서 더 진화된 느낌이네요. 본인이 운영하시는것은 상관없지만 다른분들은 매우 신중이 접근하시길 바랍니다.

image.png